최상의 성공은 편안길만 골라가는 사람이 아니라 고된일 ,시련, 위협앞에 몸을
사리지 않는 사람들에게 온다. 이 사람들이야 말로 궁극적 승리의 영화를 누린다. 40대 초반의 미국인 돈 슈나이더 교수는 어느날 재임용 탈락을 통지서를 받는다. 우수한 성적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어디서나 인정을 받았던 그가 해고 통보를 받은 것이다. 슈나이더는 2년동안 차마 아내에게 말을 하지 못한 채 백 여개의 대학에 지원서를 보내고 재 취업을 기다렸다. 그러나 그가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모든 대학에서 거절당하자 집을 팔아 생계를 꾸리고 급기야 빈민들에게 주는 식량 구매권에 의존해 살아야 했다. 슈나이더는 하루하루를 분노와 좌절감 속에서 보냈으며, 심지어 늘 자살할 궁리나 하면서 주변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 그러던 어느날 갑자기 그는 자신이 그토록 매달리는 사회적 명예 때문에 사랑하는 사람들을 절망으로 몰아넣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노동자의 집안에서 자라난 그는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대학교수라는 자리의 집착에서 벗어나 건축현장의 잡부에서 부터 시작하여 유능한 목수가 되었고 그 어느때 보다도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절벽산책>>으로 베스트작가가 되었다. 혹 당신은 인생의 절벽을 산책해 본적이 있는가? 누구나 삶의 절벽에 부딪힐 수 있다. 더 이상 나아갈 수도 , 물러설 수도 없는 상황과 맞닥뜨린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 인생의 길에는 절벽이 없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인생의 절벽이란 것은 그렇다고 믿는 사람에게만 찿아오는 것이다. 즉 스스로가 만들어 낸 절벽은 있지만 실제 인생에 있어서 절벽은 절대로 없다. 인생의 절벽과 자주 마주친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목적의식이 강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인생에는 목적이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그 목적에 이끌려 다니는 삶을 산다. 목적이 있는 것이 나쁜 것이 아니라 목적은 언제라도 변할 수 있고 변한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절대불변의 목적을 가지고 사는 사람들은 그 목적이 상실되면 곧 절벽에 부딪혔다고 여겨 막다른 길을 선택할 수 밖에 없다. 인생에는 한길만이 유일한 길이라고 고집해 왔는데 그 길이 막혔다고 인생을 포기할 것인가? 돈 슈나이더가 교수로 살아야만 한다는 생각을 버렸을때 그에게 인생의 절벽은 사라지고 자아성취감을 맛볼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절벽은 없다. 언제나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길은 펼쳐져 있다. 오히려 절벽은 힘이다. 익숙했던 길을 버리고 새로운 세계에 들어갈 수 있는 힘이다. 돈 슈나이더는 생의 절벽을 만나 자신을 풍요롭게 채워줄 수 있는 색다르고 풍부한 잠재력이 자신에게 있슴을 발견했다. 당신의 인생에서 절벽을 만나더라도 그 절벽은 인생의 종착점이 아니라 제 2의 인생을 새롭게 시작하라는 출발점으로 생각하고 감사하라. 신이 인간을 창조할때 , 혹은 자연의 섭리로 인간이 진화할 때 우리 안에는 자기파악, 자유의지, 가치판단, 창조적 능력,적응력 등이 이미 있었다. 우리 안에 다양한 잠재력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는다면 누구에게나 절벽은 없다. 절벽은 삶을 더 높힐 수 있는 디딤돌이다. 스탠포드 연구소의 엘진은 지금 미국에서는 새로운 도전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한다. 미국인들에게 제 1차도전은 서부개척, 제2차 도전은 기술혁명 이였다. 지금은 새로운 개척정신, 즉 잠재력 개발이라는 제3차 도전의 바람이 불고 잇다. 그 잠재력 가운데 최고봉은 스스로 환경을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다. 환경에 얽매여 종속되어 있는 자기가 아니라 환경을 초월해 누릴 수 있는 자유이다. 인간의 신체를 한없이 편안하게 해 준다는 고도의 물질문명을 가진 서양에서는 문명의 절벽을 발견하고 나서야 초연할 수 있는 마음가짐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그래서 생의 절벽은 인생에 있어서 또 하나의 힘이다. 절벽에 다다랐을때 궤도수정을 하고 방향을 전환하라. 극한상황에 부딪혀 본 사람만이 비상을 꿈꾸고 돌파구를 찿을 수 있다. -이동연의'나를....'중에서- |
'읽을거리 > 마음에 닿았던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식 줄임말 (0) | 2006.12.11 |
---|---|
[스크랩] 진짜 실용 영어회화 (0) | 2006.12.11 |
그대는 낙오자가 아니다 (0) | 2005.03.11 |
건강십훈 (0) | 2005.03.11 |
오늘이란 말은... (0) | 2005.03.11 |